경제와 경영

2023년 주휴수당 계산기 방법

오드리37 2023. 7. 11. 23:16

2023년 주휴수당 계산기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주휴수당의 정의, 대상을 알아본 다음에 계산 방법과 미지급 시 처벌 및 신고를 살펴보겠습니다.

 

 

1. 2023년 주휴수당은?

주휴수당은 1주일에 15시간 이상 일하는 근로자가,  1주일동안 고용주와 약속한 날을 결근 없이 개근을 한 경우에 주 1회 주어지는 유급휴일에 해당하는 수당입니다. 

2023년의 최저임금은 9,620원으로 주 5일에 하루 8시간 일했을 경우에  주휴수당은 8시간으로 책정되어 월 2,010,580원을 받게 됩니다. 또한 주 5일, 주 40시간 미만이어도 1주일에 15시간 이상 일하게 되면 무조건 시간에 비례해서 근로자에게 주휴수당을 지급합니다. 단, 개근했을 경우에만 가능하며 개근해서 조퇴를 하더라도 주휴수당은 지급되어야 합니다.

 

 

2. 2023년 주휴수당이 적용되는 대상은?

a) 사업자 

일하는 사람이 1명 이상인 모든 사업자에 다 해당됩니다. 단지 동거하는 친족만으로 구성된 사업, 일반 가정의 가사업무종사자, 선원법의 적용받는 선원과 선박 소유자에게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b) 근로자

정규직, 비정규직뿐 아니라 청소년, 외국인, 그리고 파트타임 근로자 모두 해당됩니다. 단 고용노동부장관의 적용제외 인가를 받은 자는 그렇지 않습니다.

 

3. 2023년 주휴수당 계산기 방법

1일 소정근로시간에 시급을 곱하면 주휴수당이 나옵니다. 

 

a) 40시간 이상인 경우

     예를 들어 1일 9시간, 주 5일 개근한 자라면 1주에 총 45시간 일한자로서,

     1일 소정근로시간 * 시급을 적용하면 

     9*9620원(2023년 최저임금)= 86580원

     따라서 86580원의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b) 40시간 미만인 경우

    예를 들어 1일 6시간, 주 3일 개근한 자라면  1주에 총 15시간 이상인자로서, 

    1일 소정근로시간(1주동안 일한 총 시간/5) * 시급을 적용하면

    (18시간*5) * 9620원 = 32,632원 

    따라서 32,632원의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아래의 사이트로 가시면 편하게 주휴수당 계산기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링크

https://shiftee.io/campaign/weeklyPaidHolidayPayCalculator#result-section

 

주휴수당 계산기 | 시프티

알바 주휴수당 계산해보세요

shiftee.io

 

 

4. 2023년 주휴수당 미지급시 처벌 및 신고

a) 주휴수당 미지급 시 처벌

근로기준법 제 110조 제1호에 의거하여 주휴수당을 주지 않은 고용주는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집니다.

b) 주휴수당 미지급시 신고

사업장 소재지를 관할하는 지방고용노동청으로 직접 방문해서 신고하거나 온라인으로 진정제기할 수 있습니다. 

 

1) 온라인 진정제기 

고용노동부의 인터넷 사이트를 들어가서

왼쪽상단의 민원마당 - 민원신청 - 서식민원에서 <기타 진정신고서>를 작성합니다. 

www.moel.go.kr  

 

내일을 위한 고용노동부 - 고용노동부가 밝은 미래를 열어드립니다

 

www.moel.go.kr

2) 고용노동부의 인터넷 사이트를 들어가서

    기관소개 에서 <찾아오시는 길> 선택 - 조직안내에서 <소속기관>을 참고하시어 방문하시면 됩니다.